본문 바로가기
🌟 간단 가이드

【가이드】3. 간단한 공연 설명

by 카제제 2023. 8. 5.

안녕하세요, 카제입니다.

간단한 가이드 3탄. 이번에는 공연 편입니다.

가이드를 작성하면서 생각했는데 아무래도 컨셉을 잘못 정한 것 같습니다.

게임 시스템이 전혀 간단하지가 않아요.

...

하지만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으니, 함께 즐거운 게임, 즐거운 공연을 해봅시다.

고!

 


 

공연

 

 영업할 때마다 자꾸 깜빡하지만, 블랙스타는 리듬 게임!

'공연'은 블랙스타의 수록곡을 플레이할 수 있는 리듬 게임 시스템입니다. 이번에도 화면부터 차근차근 살펴봅시다.

 

 1. 이벤트

 '공연' 화면으로 들어가면 가장 먼저 나오는 화면입니다.

[이벤트]에서는 지금 진행 중인 이벤트의 대상 악곡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포인트는 [이벤트] 화면에 표시된 곡을 플레이해야만 획득할 수 있습니다. 티켓 포인트를 써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최대 2포인트까지 사용 가능)

 이때는 'Amuse Summer HeroShow'의 이벤트 대상 악곡인 'Call me, Baby'와 'Period...'를 플레이할 수 있네요.

 

2. 통상

대부분의 곡들은 [통상]으로 들어옵니다. 일부 악곡은 플레이하면 메인 스토리를 개방할 수 있습니다.

통상 악곡에는 '공연 보너스'라는 시스템이 있으며, 다양한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티켓 포인트를 써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1포인트씩 사용 가능)

 

3. 회상

 지난 이벤트 악곡들은 대부분 [회상]으로 들어옵니다. 일부 악곡은 플레이하면 메인의 Side 스토리, 과거 이벤트 스토리를 개방할 수 있습니다. [회상] 악곡들은 분홍색 '회상 티켓'을 써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1장씩 사용 가능)

 

 

 화면 구성은 [이벤트], [통상], [회상] 모두 거의 동일합니다. 하나하나 살펴봅시다.

 

티켓 포인트 오른쪽 상단에 티켓 포인트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누르면 티켓 포인트를 충전하는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악곡 목록 플레이할 악곡을 위아래로 스와이프해서 고를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並び替え'를 누르면 필터를 적용하거나 순서를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벤트]와 [회상] 악곡의 경우, 상단에 어떤 이벤트의 악곡인지 서술되어 있습니다.
특정 콤보를 달성할 시 앨범 커버에 자동으로 뱃지가 붙습니다. 풀콤보 달성시 은색 뱃지, 퍼펙트 콤보 달성시 금색 뱃지가 붙습니다.
미션 해당 악곡을 플레이해서 스토리를 개방할 수 있는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누르면 어떤 스토리를 개방할 수 있으며,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연 보너스 [통상] 악곡에만 있는 공연 보너스 시스템입니다.
'콤보', '하이 스코어', '플레이' 각각의 조건을 달성하면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가장 마지막에 있는 미션까지 달성하면 BGM 교환권을 하나 획득 가능합니다.
분류 선택 [이벤트], [통상], [회상]을 선택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팀 마크 해당 악곡이 어떤 팀에 속한 곡인지 표시하는 아이콘입니다.
K . W . P . C . B . ☆
- 팔각별 아이콘(☆)은 셔플곡, 단체곡 등 특정 팀에 속하지 않는 곡을 의미합니다.
- 행성 모양 아이콘은 'Readyyy! 콜라보 이벤트' 대상 악곡을 의미합니다.
악곡 속성 해당 악곡을 플레이할 때 어떤 파라미터가 유리한지 표시합니다.
Da(댄스), Vo(보컬), Ac(액트)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FLAT은 파라미터 변동이 없는 곡을 의미합니다.
곡 번호 해당 곡이 몇 번째 곡인지 표시합니다.
곡명 해당 악곡의 곡명을 표시합니다.
최대 콤보 해당 악곡을 풀콤보 이상으로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최대 콤보수입니다.
악곡 레벨 해당 악곡의 난이도를 숫자료 표시합니다.
현재 최저 레벨은 4, 최대 레벨은 33입니다.
베스트 스코어 자신이 플레이한 해당 악곡의 가장 높은 점수와 랭크가 표시됩니다.
랭크는 C부터 SSS까지 있으며, 콤보와 점수를 반영하여 책정됩니다.
난이도 변경 해당 악곡의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입니다.
'노말(NOMAL)' > '하드(HARD)' > '어드밴스드(ADVANCES)' 순으로 어려워집니다.

 

 ※ 공연곡 필터에 대한 설명

 현재 통상 악곡은 59개, 회상 악곡은 169개나 되며 이벤트가 추가되는대로 악곡은 계속 늘어납니다. 때문에 스와이프만으로 원하는 곡을 찾기는 꽤 시간이 걸리죠. 그래서 '並び替え'의 필터 기능을 사용해주는 것이 편리합니다.

 필터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은 접은 글의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더보기

 

1. 공연 팀별 (演目チーム別)

 악곡을 팀별로 볼 수 있습니다. '전부, K, W, P, C, B, ☆(특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복 선택이 가능합니다.

 

2. 챌린지 (チャレンジ)

 챌린지 미션 달성도에 따라 구별해서 볼 수 있습니다. '데일리, 위클리, 특별'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각 '전부, 미달성, 달성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공연 보너스 (公演ボーナス)

 공연 보너스의 달성도에 따라 구별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부, 미달성, 달성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미션 (ミッション)

 스토리 개방 미션의 달성도에 따라 구별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부, 미달성, 달성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5. 풀콤보 / 올퍼펙트 (フルコンボ・オールパーフェクト)

 풀콤보/올퍼펙트 여부에 따라 구별해서 볼 수 있습니다. 노말, 하드, 어드밴스드 각각 '전부, 미달성, 달성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6. 가장 아래에는 필터를 설정했을 때 몇 곡이 해당되는지 숫자로 표시됩니다.

 


 '정렬(並び替え)'에서는 정렬 기준과 오름차순/내림차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극(演目) : 가장 기본적인 공연 순서입니다. 악곡이 추가된 순서를 따릅니다.

2) 팀(チーム) : 악곡을 팀별로 모아서 정렬합니다. 오름차순일 경우 'K - W- P - C - B - ☆' 순서입니다. 팀 안에서는 악곡 추가 순서를 따릅니다.

3) 미션(ミッション) : 스토리 개방 미션 달성도에 따라 정렬합니다.

4) 노말/하드/어드밴스드 레벨 : 각 난이도의 레벨 순서로 정렬합니다.

 


 

악곡 및 난이도 고르기

 

 첫 화면 설정은 이상입니다. 이제 공연을 직접 플레이하는 순서를 알아볼까요?

 

 

1. 어떤 곡을?

 이벤트, 통상, 회상 중에서 어떤 분류에 속하는 곡을 플레이할지 선택합니다.

 

2. 악곡 선택

 플레이할 악곡을 선택합니다. 원하는 곡을 찾기 어렵다면 '並び替え' 기능도 이용해봅시다.

 

3. 난이도 선택

 악곡의 난이도를 선택합니다. '난이도 변경(難易度切り替え)' 버튼을 누르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악곡의 난이도는 첫 번째 화면에서만 변경할 수 있으니 주의합시다!

 

4. 플레이!

 악곡과 난이도를 전부 선택했다면, 앨범 커버를 눌러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시다.

 


 

서포트 카드 고르기

 

다른 플레이어 분들의 닉네임은 모자이크했습니다.

 공연 때, 자신의 서포트 카드를 사용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의 서포트 카드를 빌릴 수 있습니다.

가장 위에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것이 자신의 서포트 카드이며, 그 아래로는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가 표시됩니다.

 

 서포트 카드는 유닛에 직접 편성되지는 않지만 공연에 유리한 효과를 부여해줍니다.

카드 이름 아래에 적혀 있는 것이 '서포트 스킬의 효과'입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원하는 서포트 카드를 찾아봅시다!

오른쪽 상단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필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초보자 미션'을 클리어하면 얻을 수 있는 '【백조의 기사】 케이'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백조의 기사】 케이의 서포트 스킬은 "모든 악곡의 공연 시, 편성 캐스트의 숙련도가 2씩 업' 입니다.

 

※ 서포트 스킬의 종류

더보기
카드 파라미터 업
Da 공연시, 댄스 파라미터를 보정해주는 스킬 (대, 중)
Vo 공연시, 보컬 파라미터를 보정해주는 스킬 (대, 중)
Ac 공연시, 액트 파라미터를 보정해주는 스킬 (대, 중)
Da, Vo 공연시, 댄스와 보컬 파라미터를 보정해주는 스킬 (중, 소)
Da, Ac 공연시, 댄스와 액트 파라미터를 보정해주는 스킬 (중, 소)
Vo, Ac 공연시, 보컬과 액트 파라미터를 보정해주는 스킬 (중, 소)
Da, Vo, Ac 공연시, 모든 파라미터를 보정해주는 스킬
응원 게이지 상승량 응원 게이지 상승량을 올려주는 스킬
(팀별, 무대의상별로 구별되며 상승량 차이가 있음)
초기 응원 게이지 응원 게이지가 일정 퍼센트 채워진 상태로 공연이 시작된다.
(대체로 50%, 즉 절반이 채워진다)
찬스치 공연 종료시, 찬스치 합계 일정 퍼센트 상승한다.
(즉, 공연 보상 드랍률이 올라간다)

공연 종료시, 일정 퍼센트의 확률로 칩을 획득한다.
공연 보상이 1개가 되며, 칩을 1개 획득한다.
(즉, 공연 보상이 칩 1개로 제한된다)
공연 종료시, 획득 엘이 100% 업
(즉, 획득한 엘의 2배를 가지게 된다)
악곡 숙련도
모든 악곡 공연시, 편성 캐스트의 숙련도가 2씩 업
(즉, 어떤 곡을 플레이하든 숙련도 합계가 10 상승한다)
특정 악곡 공연시, 편성 캐스트의 숙련도가 2씩 업
(즉, 해당하는 곡을 플레이하면 숙련도 합계가 10 상승한다)
기타
공연시 편성한 1성, 2성 카드의 수만큼, 공연 보상수가 추가된다.
공연시 편성한 특수기동수사대 STL 한명당, 공연 보상이 2개 추가된다.

 


 

유닛 편성 화면

 

서포트 카드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유닛을 편성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여기에도 다양한 기능이 있으니, 차근차근 확인해볼까요.

 

 

1. 선택한 악곡과 난이도, 레벨이 표시됩니다. 자신이 플레이하려는 조건이 맞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현재 선택중인 유닛, 즉 덱이 표시됩니다. '추천(オススメ)', '스타멘(スタメン)'외에 유닛을 7개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추천(オススメ)' 유닛은 악곡 숙련도, 카드의 파라미터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유닛을 자동으로 편성합니다. 이 유닛의 카드는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2) '스타멘(スタメン)' 유닛은 악곡의 스탠다드 멤버를 따라 항렬까지 맞춰서 유닛을 자동으로 편성합니다. 이 유닛의 카드는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유닛명 아래에 있는 '스타멘(スタメン)' 버튼을 누르면 바로 스타멘 유닛이 표시됩니다.

 

 3) 유닛을 한번 클릭하면 카드의 파라미터와 숙련도, 찬스, 스킬 등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창이 열립니다. 여기서 자기 유닛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캐스트 랭킹 1위인 캐스트는 카드에 하얀색 반짝이가, 최하위인 캐스트는 카드에 검은색 반짝이가 표시됩니다. 둘다 카드 파라미터가 상승한 상태이니 높은 공연 스코어를 노린다면 체크해주세요!

 

3. 유닛을 편성할 때 고려해야 하는 것은 많지만, 우선 유닛명 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편성의 강함, 찬스, 숙련도를 주의해서 보도록 합시다.

 1) 편성의 강함(編成の強さ) : 말 그대로 유닛의 종합치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공연 스코어가 높아집니다. 주로 카드 레벨과 숙련도를 올려서 종합치를 높입니다.

 2) 찬스(チャンス) : 아이템 드랍률을 표시해줍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공연 보상이 많이 드랍됩니다. 카드 5장의 찬스 레벨을 모두 더한 값으로, 500이 최대입니다. 카드의 찬스치를 강화해서 높일 수 있습니다.

 3) 숙련도 : 해당 악곡에 대한 유닛의 숙련도 합계입니다. 공연 스코어, 콤보 확률 등에 영향을 줍니다. 리허설 플레이, 특정 서포트 카드 사용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 이 세 요소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리허설, 카드 강화 등을 통해 높은 점수를 노려봅시다 :)

 

4. '편성(編成)' 버튼을 누르면 유닛에 원하는 카드를 배치할 수 있는 화면이 열립니다. 편성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5. 이전 단계에서 선택한 서포트 카드가 표시됩니다. 어떤 성능인지 확인할 수 있으니, 원하는 서포트 카드를 제대로 빌려왔는지 확인해봅시다.

 

6. 왼쪽 하단에는 '설정(設定)' 버튼이 있습니다. 리듬 게임에 관한 여러 요소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미리미리 확인해서 자기에게 맞는 리듬게임 환경을 만들면 편리합니다.

 

7. 오른쪽 하단의 버튼을 눌러서 '리듬모드'와 '응원모드'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1) 리듬모드: 유저가 직접 플레이하는 모드. 노트 판정이 숙련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2) 응원 모드: 자동으로 플레이되는 모드. 노트 판정이 숙련도의 영향을 받습니다.

 두 모드는 스킬 사용 방법, 고려해야 할 점 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공연을 플레이하기 전 꼼꼼하게 확인하도록 합시다. (응원 모드인 줄 알았는데, 리듬 모드가 시작돼서 점수가 큰일나는 일은 자주 일어납니다...)

 


 

유닛 편성하기

 

 이제 진짜로 자기만의 유닛을 편성해봅시다!

④번으로 표시되어 있던 '편성'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유닛을 편성하는 방법은 직접 카드를 편성하는 것과, 커스텀 편성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직접 편성하는 방법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카드를 변경하기

 카드를 변경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5개 중 원하는 자리를 터치해서 원하는 카드를 고르면 끝입니다.

먼저 1st 칸에 있는 케이의 카드를 바꿔보겠습니다.

 1st 칸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첫 번째 칸에는 현재 편성되어 있는 카드가, 두 번째 칸에는 내가 바꾸려는 카드가 표시됩니다. 아래에는 내가 가지고 있는 카드가 전부 나와 있으니 그 안에서 원하는 카드를 고르면 됩니다.

 카드 선택창에서 카드를 고를 때도 '並び替え' 버튼을 눌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카드를 선택한 후 '결정決定'을 누르면, 위와 같이 케이의 편성 카드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2nd, 3rd, 4th, 5th 모두 원하는 카드로 편성해주시면 됩니다.

 

 ※ 카드를 변경할 때 어떤 것을 고려해야 하나요?

 그 기준은 유저마다,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단언하기 힘듭니다. 그래도 공통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카드 파라미터'와 '스킬'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1) 카드 파라미터

 카드 편성창을 보면 Da, Vo, Ac마다 수치가 적혀 있고, 찬스 레벨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수치가 클수록 카드의 파라미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에 있는 3성 케이보다 아래에 있는 4성 케이가 더 높은 점수를 내는 셈입니다. 그러니 파라미터가 높은 카드를 편성하는 게 높은 공연 스코어를 따는 데에 유리하겠죠.

 

2) 스킬

 스킬 선택창에서 '어필 스킬'과 '포텐셜 스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어필 스킬과 포텐셜 스킬로 전환됩니다.

어필 스킬: 공연 플레이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스킬. 스코어를 올리거나 콤보 수를 추가하는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포텐셜 스킬: 공연 플레이 전에 적용되는 패시브 스킬. 해당 스킬을 보유한 카드를 1st(센터)에 배치했을 때만 발동됩니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카드의 파라미터를 상승시키는 종류가 많습니다.

 

 내가 공연 스코어를 올리기 위해서 어떤 스킬을 써야 좋을지 고민하는 것이 블랙스타의 묘미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스킬은 각 카드 정보에서 더욱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랙스타에는 정말 다양한 종류의 스킬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따로 '스킬 가이드'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일단 지금은 넘어가도록 하죠!

 

 

2. 어필력과 찬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카드를 4성으로 바꿔서 편성했습니다. 3성 카드로 편성되어 있을 때보다 '어필력'과 '찬스'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죠. 둘다 공연 스코어와 보상 수에 영향을 주는 수치이니 잘 확인하도록 합시다.

 

 

3. 그 외의 기능

1) 배치 변경(配置変更) : 카드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설정을 활성화하고 드래그해서 카드 배치를 옮길 수 있습니다.

2) 리허설(リハーサル) : 리허설 버튼을 누르면 악곡과 유닛 편성 그대로 리허설 준비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리허설 준비 화면에서 뒤로가기를 누르면 홈 화면으로 나가게 되니 주의하세요.

3) 커스텀 편성(カスタム編成) : 여러 조건을 설정해서 편성을 커스텀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4) 서포트 카드 설정(サポートカード設定) : 자신의 서포트 카드를 확인 및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편성 끝, 공연 시작

 이제 편성을 마치고 공연을 시작해봅시다.

카드와 스킬은 원하는 대로 편성했나요? 응원모드와 리듬모드 설정은 잊지 않았나요?

그렇다면 공연을 시작합시다!

 


공연개시 버튼을 누르면, 공연이 시작되기 전까지 악곡에 대한 개요가 나타납니다.


 

공연 : 리듬모드

 

 위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공연은 '리듬모드'와 '공연모드'가 있으며, 두 모드의 플레이 스타일은 크게 다릅니다. 그러니 하나씩 설명해보죠. 우선 리듬모드부터!

 

1. 스킬은 먼저 편성한다!

 블랙스타의 리듬게임 스킬은 처음부터 끝까지 유저가 직접 편성해야 합니다.

하지만 직접 노트를 쳐야 하는 리듬모드에서 스킬까지 켜고 끄는 건 불가능하죠. 그래서 공연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스킬을 편성해야 합니다.

 공연이 시작되기 전, 짧은 시간 동안 SD 캐릭터가 나오며 오른쪽 하단에 '스킬 순서 변경(スキル順変更)' 버튼이 나타납니다. 이때 이 버튼을 눌러야 스킬을 편성할 수 있습니다. (못 누르면? 그냥 공연이 시작되어버립니다...)

 

 스킬을 어떤 순서로 사용할 것인지, 어떤 스킬을 쓸 것인지, 전부 마음대로 정할 수 있습니다. 유저가 스킬을 편성하지 않은 디폴트 상태에서 스킬은 1st부터 차례대로 한번씩 발동합니다.

 

 하단에 있는 아이콘을 누르면 스킬이 배치되고, 배치된 아이콘을 누르면 배치가 취소됩니다.

클리어(クリア)를 누르면 모든 배치가 취소되며, 디폴트로 되돌리기(デフォルトに戻す)를 선택하면 아무것도 편성하지 않은 기본 상태로 돌아갑니다.

 스킬은 최대 10개까지 배치할 수 있으며, 10번째 스킬을 사용하면 다시 1번째 스킬부터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반드시 스킬을 꽉 채워서 배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어필 스킬(アピールスキル)' 버튼을 누르면 어떤 스킬을 보유하고 있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킬 배치를 끝냈으면 결정 버튼을 눌러서 공연을 시작합시다.

 

 

2. 노트를 치자!

 블랙스타의 리듬게임은 세로 방향으로, 5개의 레인이 있습니다.

가운데에 있는 것이 '센터 레인', 바로 옆에 있는 줄 두개가 '인사이드 레인', 가장 끝에 있는 줄 두개가 '아웃사이드 레인'입니다. 5개의 레인으로 노트가 내려오고 타이밍에 맞춰 누르기만 하면 되는 기본적인 리듬게임이죠.

 

 노트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한번만 누르면 되는 '싱글 노트'(왼쪽), 꾹 길게 누르고 있어야 하는 '롱 노트'(오른쪽)입니다.

 

Tip ! 싱글 노트는 이런 식으로 연달아서 내려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하나하나 치는 게 아니라 롱 노트를 누르듯 손가락을 떼지 않고 슬라이드하듯이 움직이면 노트를 친 것으로 판정됩니다. 손가락을 두다다닷 움직일 필요가 없다는 말씀!

 

 

3. 응원 게이지

화면 왼쪽에는 '응원 게이지'라는 것이 있습니다. 노트를 누르면 응원 게이지가 차오르게 되고, 이 게이지가 꽉 찼을 때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리듬모드'의 경우, 응원 게이지가 꽉차면 편성한 대로 스킬이 자동 사용됩니다.

 

 응원 게이지는 다음과 같은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1) 히로인 레벨: 유저의 히로인 레벨이 올라갈수록 응원 게이지가 빠르게 올라갑니다.

2) 편성의 강함: 노트를 눌러서 획득하는 점수가 클수록 응원 게이지가 빠르게 올라갑니다. 쉽게 말하자면, 유닛이 강해질수록 응원 게이지도 빨리 올라가는 겁니다! 그러니 공연 스코어에 영향을 주는 카드 파라미터, 숙련도 등은 자연스럽게 영향을 주는 셈이죠.

 

 

4. 공연 스코어 / 콤보

 공연 스코어는 왼쪽 상단에 표시되며, 플레이 중에 실시간으로 올라갑니다.

 콤보는 레인 한가운데에 표시됩니다. 노트는 PASS, GOOD, GREAT, PERFECT 순으로 점수가 높이 책정됩니다.

 

 

5. 라이브 종료

 곡이 끝나면 라이브가 종료됩니다.

풀콤보라면 파란색 'FULL COMBO' 문구가, 올 퍼펙트라면 노란색 'ALL PERFECT' 문구가 출력됩니다.

종료 후에는 '응원 모드'와 똑같이 진행되모르, 응원 모드 후에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공연 : 응원모드

 

 응원모드는 리듬모드와 달리 노트가 자동으로 판정됩니다. 유저가 직접 리듬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되는 거죠.

그렇다면 우리는 뭘 해야 할까요? 바로 '스킬' 사용하기 입니다!

 

1. 스킬을 사용하자!

 응원 모드에서는 응원 게이지가 꽉 차도 스킬이 자동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유저가 직접 발동시켜야 하죠.

 

 응원 게이지가 꽉 차면, 이렇게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라고 알려줍니다.

 

 이때 5개의 레인 끝에 있는 캐스트의 아이콘을 아래로 내리면, 해당 캐스트가 가진 '어필 스킬'이 발동됩니다.

 

 캐스트 아이콘을 아래로 길게 내리고 있으면, 아이콘이 내려간 상태로 고정되며 'NEXT SKILL' 이라는 문구가 표시됩니다. 이렇게 아이콘을 고정시키면 응원 게이지가 찰 때마다 고정된 캐스트의 '어필 스킬'이 자동으로 사용됩니다.

 아이콘을 위로 올리거나 다른 캐스트의 아이콘을 건드리면 고정은 해제됩니다.

 

 

2. 라이브 종료

 곡이 끝나면 라이브가 종료됩니다. 종료 화면은 리듬모드와 동일합니다.

 


 

라이브 종료

 

1. 커튼콜

 라이브가 종료되면 가장 먼저 '커튼콜 화면'이 나옵니다.

공연 스코어에는 캐스트 각각이 획득한 '캐스트별 스코어'와 캐스트별 스코어의 총합인 '토탈 스코어'가 있습니다. 커튼콜 때는 캐스트별 스코어를 많이 획득한 캐스트 순서대로 표시됩니다.

 

 캐스트별 스코어 1위, 2위, 3위를 한 캐스트에게는 '칩'을 줄 수 있습니다. 'BET'라고 적혀있는 부분을 터치하면 해당 캐스트에게 칩이 투입됩니다. '칩'을 줄 때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1) 스코어가 상승한다

 칩을 받은 캐스트는 스코어가 상승합니다. 원래 획득했던 '캐스터별 스코어'의 일정 비율만큼 추가 스코어가 붙는 것이죠. 따라서 토탈 스코어도 함께 상승합니다. 하지만 칩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상승하는 스코어의 비율이 줄어드니 주의하세요. 그리고 한 커튼콜에서 줄 수 있는 칩은 30개가 최대이니, 어떻게 분배할지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캐스트 랭킹 포인트가 쌓인다

 칩을 받은 캐스트는 캐스트 랭킹 포인트가 쌓입니다. 캐스트 랭킹작을 하기 위해 노리는 캐스트에게 칩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3) 특별한 보이스를 들을 수 있다 

 한 캐스트에게 칩을 10개, 그리고 30개 줄때마다 특별한 보이스를 들을 수 있습니다. 특히 30개를 받은 캐스트는 환한 미소와 함께 꽤나 상당한 대사를 하기 때문에... 한번쯤 들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저는 행복했습니다...

 칩을 충분히 줬거나, 주지 않고 커튼콜을 끝내려면 오른쪽 하단에 있는 'TAP RESULT'를 누르면 됩니다.

 

 

2. 공연 결과

 첫 번째 화면에서는 토탈 스코어와 랭크, 상세한 콤보가 표시됩니다. 콤보작을 할 때 확인하면 좋은 화면입니다.

 

 두 번째 화면에서는 획득한 공연 보상과 엘의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상 공연에서는 일반적인 강화 아이템을, 회상 공연에서는 해당 이벤트 한정 강화 아이템을, 이벤트 공연에서는 해당 이벤트 한정 아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벤트 공연을 플레이했을 경우, 세 번째로 이벤트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공연을 통해 획득한 이벤트 포인트, 지금까지 획득한 포인트 합계, 다음 보상까지 남은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상 공연이라면 마지막으로 공연 보너스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조건을 달성했다면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 화면에서 '다시 플레이(再プレイ)'를 누르면 '서포트 카드 선택'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종료(終了)'를 누르면 '악곡 선택'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공연에 여러가지 버전이 있다 보니 설명이 굉장히 길어졌네요...

많이 어렵지는 않지만, 블랙스타의 리듬게임을 처음 접한다면 아리송할 수 있는 점들을 나름 자세하게 정리한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네요.

여러분이 리듬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마음에 드는 블랙스타 노래가 생긴다면 기쁘겠습니다.

즐거운 블랙스타 되시길!

댓글